발행인 황호덕
발행인 황호덕

‘인구·결혼·출산’이라는 세 낱말은 간격이 가까워 사람으로 비유하면 ‘혈연(血緣), 혈족(血族), 천륜(天倫)’의 범주로 묶어도 무리가 없는, 즉 낱말의 가족이라는 뜻에서 ‘어족(語族)’이라고 표현해도 잘 어울린다.

천륜지정(天倫之情)을 갖고 있는 어족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2023년 5월 21일, 경기도는 2023년 4월 현재 기준 인구가 1,400만 명을 돌파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한국 전체 국민의 26.6%가 경기도에 살고 있다는 뜻이다.

정확하게 살펴보면, 주민등록인구는 1,360만 7,919명, 등록외국인 39만 5,608명, 합계 1,400만 3,527명이다. 2002년 12월 말 인구 1,000만 명을 돌파한 후 20년 4개월 만에 1,400만 명을 넘었다.

경기도는 2003년 12월 말 1,036만 1,638명의 인구를 기록하며 서울시 인구 1,027만 6,968명을 처음 추월했다. 서울에 있던 경기도청이 수원으로 이전한 1967년과 비교하면 1,100만 명이 늘었다. 1967년 말 당시 경기도 인구는 307만 797명이었다.

경기도의 인구 증가는 출산 등에 따른 ‘자연적 증가’보다는 다른 지역의 인구 이동에 따른 ‘사회적 증가’가 가장 큰 원인으로 분석됐다.

“인구 1,400만을 돌파한 경기도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광역지방자치단체이면서 산업·경제 부문에서도 실질적으로 대한민국을 이끌어가고 있다”며 “경기도는 실제로 ‘1개 국가’ 수준의 인구와 경제 규모를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경기도 ‘창업기업’ 규모는 대한민국, 프랑스, 터키에 이어 OECD 국가 중 4위다. 2021년 기준 무역 규모는 수출·수입을 포함해 2021년 기준 OECD 국가 중 21위, GRDP는 4,445억 달러로 OECD 국가와 GDP로 비교할 경우 23위다. 이는 노르웨이(24위)와 이스라엘(25위)보다 앞선다.

그런데 경기도 인구는 사회적 증가라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한국의 대표적 사회적 현상인 인구 감소, 결혼 시기 지연, 출산율 저하는 경기도는 물론 대한민국 전체가 직면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경기도는 인구 증가 관련 정책은 물론 결혼과 출산에 대한 정책도 동시에 마련해야 한다. 그래야 경기도가 밝힌 ‘선도적 지자체’와 ‘삶의 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2023년 현재, 대한민국은 ‘혼인은 늦게 하고, 아이는 낳지 않고, 오히려 결혼을 포기한다’는 사회적 현상이 꽈리를 틀고 있다. 결혼과 출산을 피하려는 청년들이 많은 까닭이다.

전남 화순군은 5월 9일 청년 주거난 해결책으로 추진한 ‘청년 만원 아파트’가 10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파격적인 정책으로 시선도 잡고 실질적인 주거난을 풀 수 있는 기회도 잡은 셈이다.

인구와 결혼과 출산은 청년과 직결돼 있어 청년정책은 중요하다. 행정안전부가 2023년 초부터 인구유입정책으로 추진하고 있는 ‘청년마을’을 비롯해 살펴봐야 할 게 많다.

아울러 빠르게 늘고 있는 노령인구 대책도 필수다. 인구 1,400만을 맞은 경기도가 ‘인구’와 함께 ‘결혼·출산·노령인구’를 하나로 묶어 ‘4인가족’처럼 ‘4개낱말’에서 어울림을 잘 찾아 좋은 정책을 추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경기인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