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시절은 우리 민족의 근대사에서 지울 수 없는 상처이자 항상 기억해야하는 역사다. 그래서인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을 다룬 문화콘텐츠 역시 많은 관심을 받고는 하는데, 재작년에 개봉했던 영화 <암살>과 작년에 개봉한 영화 <밀정>이 연달아 흥행하면서 대한민국의 독립을 위해 장렬히 목숨을 바쳐 희생한 독립운동가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높아지기도 했다. 그리고 그런 독립운동 영화에 빠지지 않고 배경처럼 등장하는 단체가 있는데, 바로 '대한민국임시정부'다.

대한민국임시정부는 1919년 4월 13일 상해에 수립됐다. 당시 국내는 일제의 치밀한 감시로 인해 제대로 된 독립운동 활동이 어려웠기에 상대적으로 거리가 가깝고, 동시에 프랑스 조차지에 위치해 일제의 눈을 피할 수 있었던 상해가 임시정부 수립지로 낙점됐다. 그 후 중국 국민당 정부의 지원을 받으며 광저우, 충칭으로 옮겨가긴 했지만 최초에 수립됐던 상해의 임시정부가 가장 대표적인 임시정부로 알려져 있다.

임시정부가 수립하게 된 계기는 같은 해 있었던 3·1독립만세 운동이 결정적인 배경이 된다. 3·1운동은 국내외 2,000만 한민족의 독립 의지를 확인함과 동시에 단지 개인적 차원에서 진행되는 독립운동이 아닌 국가차원의 독립투쟁에 대한 갈망을 불러일으켰고, 각지의 독립운동가에게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독립운동의 필요성을 상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그로 인해 일제의 국권 침탈과 식민 통치를 부인하고 우리 민족의 온전한 국권회복과 한반도 내외의 독립운동을 주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공화정 체제의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수립하게 된 것이다.

실제로 3·1운동 직후에는 국내외에 6개 이상의 임시정부가 설립되었는데, 헌법, 의회, 서고문, 정강, 강령 등을 갖추고 실직적인 정부의 기능을 할 수 있었던 곳은 상해, 한성, 연해주에 설립된 임시정부만이 유일했다. 그리고 이들은 1919년 9월 11일 상해에서 통합임시정부를 구성하게 되는데, 그 정부가 1945년까지 이어져 대한민국 정부의 역사를 시작하게 된다.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일제강점기 내내 다양한 외교활동, 군사 활동을 비롯하여 독립운동 자금 마련과 동시에 민족교육과 독립신문 발행, 사료 편찬소 설치 등 문화적 활동도 진행하며 다방면으로 국권회복을 위한 노력을 진행했다. 이러한 임시정부의 다양한 활동은 우리의 자주권을 꾸준히 세계에 알리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우리 민족에게 광복의 희망을 심어주고 애국심을 고취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누구나 그 내밀한 역사적 사실까지 알기는 어려워도 '상해'에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있었다는 사실은 알고 있을 것이다. 일제의 억압을 피해 독립운동을 해야 했던 우리 민족에게 임시정부는 체계적인 독립과 자주권 수호를 위한 구심점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했기에 그 의미가 남다르다. 다가오는 4월 13일은 그런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기념일이다. 98년전 오로지 나라의 국권회복을 위해 전 재산과 목숨을 내어 놓고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희생을 마다하지 않았던 임시정부와 독립운동가를 항상 기억하며 이번 4월 13일은 조금 더 특별하게 보내보는 것은 어떨까.


봄날, 독립운동가의 희생을 기억하다.

봄은 봄인가 보다. 아무리 미세먼지가 심하다지만 그 틈바구니로 톡톡 꽃망울을 터트릴 준비를 하는 길가의 봄꽃들을 보자니 유난히 춥기만 하던 지난겨울이 드디어 물러가는 느낌이다. 계절의 변화를 느끼다보면 새삼 자연의 경이로움을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된다.

하루가 다르게 무르익는 봄기운이 느껴질 때면 항상 생각나는 시가 하나 있다. 바로 일제강점기 저항시인으로 유명한 이상화 선생이 1926년 발표한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라는 시다. 매서운 꽃샘추위보다도 더 서슬이 퍼렇던 일제 강점기 시절 빼앗긴 조국의 암담한 현실 속에 봄처럼 찾아올 광복을 기다리며 써내려 간 시인의 시, 그 중에서도 가장 백미는 마지막 시구인 '그러나 지금은 들을 빼앗겨 봄조차 빼앗기겠네.'라는 부분이다. 이 부분은 항상 감상할 때마다 가슴을 묵직하게 만든다.

이상화 선생이 일제강점기 식민지배의 비통함을 시로 표현했다면, 선생의 가족 중에는 직접 일제에 부딪히며 저항해 싸운 독립운동가도 있다. 바로 국가보훈처 4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된 이상화 선생의 큰형인 독립운동가 이상정 선생이다. 이상정 선생은 1923년 중국으로 망명해 중국 국민정부의 중장까지 오른 독립운동가로 중국에서 펼쳐진 항일전선에 적극적으로 참전하는가 한편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광복군 창설에도 큰 기여를 해 1977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 받으신 분이다. 더불어 이상정 선생의 부인은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비행사로 활약한 독립운동가 권기옥 선생으로, 부부가 나란히 조국의 독립을 위해 힘쓴 존경할 만한 분들이다.

일제강점기 시절 독립운동가에게 가해졌던 무자비한 탄압을 생각해본다면 온가족이 나라의 독립을 위해 헌신한 그 희생이 얼마나 대단한지 다시 한 번 느껴볼 수 있다. 그럼에도 아마 요즘 사회를 살아가는 대부분의 이들은 이상정 선생의 이름마저 낯설 것이라고 생각된다. 필자 역시 이상화 선생의 시는 학창시절 배운 바가 있어도, 부끄럽지만 선생의 형님이셨던 이상정 선생 역시 독립운동가라는 것은 알게 된 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금 우리가 이렇게 당당히 하나의 주권국가로서의 권리와 영예를 누리고 살아갈 수 있는 데는 누구보다 몸 바쳐 자신의 삶을 희생했던 여러 독립운동가의 노력이 있었음을 항상 기억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다가오는 4월 13일은 대한민국임시정부수립 기념일이다. 1919년 4월 13일 우리의 항일정신을 결집하여 독립운동을 체계적으로 수행하고, 우리 민족의 독립의지를 대외에 천명하기 위해 수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를 기념하기 위한 날로 마침 빼앗긴 국권을 되찾기 위해 온 몸과 정신을 바쳤던 독립운동가의 숭고한 정신을 다시 되새겨 보기 딱 좋은 날이 아닌가. 들을 빼앗겨 봄조차 빼앗겼다는 독립운동가에게 이제는 온전히 이 땅위에 찾아오는 봄기운을 듬뿍 느낄 수 있는 날이 왔다고 말하고 싶다. 물론 그러기 위해서는 이상정 선생을 비롯하여 국권 회복을 위해 노력하신 분들의 공로를 절대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기인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